미국 기업 공부 2편(뱅크오브아메리카 / BAC)

2022. 11. 26. 08:49나만의 공부/미국기업에 대해 분석하기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무엇을 하는 기업인가?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말 그대로 미국의 은행이다. 2022년 기준 총 2.5조 정도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은행 기업의 자산 순위 2등을 차지하였다.(1등 JP모건 체이스 / 3.3조)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이름은 국영기업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민영기업이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사업부문

개인 소비자 뱅킹

신용 카드 및 직불 카드, 수표, 저축 및 머니 마켓 계좌와 같은 소매 금융 서비스

글로벌 자산 및 투자 관리

회사의 US Trust 및 Merrill Lynch 자산 관리 브랜드에서 담당하고 있는 자산 관리, 중개 및 퇴직 서비스  

글로벌 마켓

글로벌 거래소, 리스크 관리, 증권 청산, 결제 및 관리 서비스, 국채 및 모기지 지원 증권의 마켓 메이커.

글로벌 뱅킹

상업 및 부동산 대출, 회전 신용 시설, 인수 및 인수 관련 컨설팅, 부채 및 주식인수

 

주주친화적인 기업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뱅크오브아메리카는 2022년 3분기까지 3.4B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하였다. 이는 주주에게 믿어준 만큼

돌려주겠다는 말이고,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하는 만큼 주식에 대한 가치는 상승할 수밖에 없다.

배당금의 인상

뱅크오브마에리카의 배당은 분기당 배당으로 아래 차트를 보면 알 수 있듯 지속적으로 상승해왔다,

현재 22년 연속 배당을 지급해 왔으며 8년 연속으로 배당이 상승했다.

배당금으로만 보았을때 10년 동안 200% 정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A2 finance 참고
A2 finance 참고

현재의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실적

최근 기준 주당순이익과 매출은 월가의 예측치보다 웃돌았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연간 매출과 순이익✍

2020년은 코로나 팬더믹의 해였다. 이에 따른 경기침체, 실업률의 증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 악화는 대출에 대한 연체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개인 소비자 또한 경제활동에 많은 위축으로 카드 사용의 빈도가 낮아지며 이는 총매출이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진 것이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와 워런 버핏✍

워런 버핏의 포트폴리오중 2번째로 많이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BAC이다. 

버핏은 2011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BAC에 투자를 하였고 현재는 포트폴리오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워런 버핏은 모두가 알고 있듯 세계적인 가치투자자이며, 이러한 버핏이 인정하고 기업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미래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앞으로의 전망

파란색 점선은 BAC의 실적, 초록색 선은 앞으로의 전망을 나타낸다.
앞으로의 전망치는 단지 전문가의 예측임으로 참고만 하도록 하자.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디지털화

BAC의 디지털 뱅킹 서비스는 사용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 만족도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 팬더믹 이후 디지털 뱅킹의 가속화로 인한 산물이다.

현재 BAC의 모바일 및 온라인 채널 이용자 수는 약 4500만 명으로 금융 전체 판매액 중 약 55%가 비대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코로나 팬더믹 이후 핀테크 기업들이 많이 보인다. 이에 발맞춰 BAC 또한 맞춰가는 모습은 앞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