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공부/보조지표 이해하기(5)
-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는 무엇인가? ①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주식 가격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②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 밴드, 하단 밴드로 구성된다. 이동평균선을 추세 중심선으로 사용하며 ③ 상, 하한 변동 폭은 추세 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한다. 이때 이동평균과 표준편차의 관계는 통계학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표준 정규분포를 가정해 산출한다. 볼린저밴드는 일정 기간 가격에 대한 변동성 측정치이므로 가격 변동이 심할 때에는 변동 폭이 좁아지는 자기 조정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세부적으로 볼린저밴드는 중심선인 ‘20일 이동평균선’과 중심선에서 ‘표준편차 × 2’를 더한 상한선, ‘표준편차 × 2’를 뺀 하한선으로 구성된다...
2022.11.28 -
기업의 실적을 알고싶을땐? <ROE / ROA>
투자의 대가 워런 버핏 또한 이 지표를 통해 좋은 기업을 고른다고 할 정도로 워런 버핏뿐만 아니라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하고 있는 지표이다. 이 또한 손쉽게 찾아볼 수 있고 한 번만 이해하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지표이다. ROE(Return On Equity) ROE는 이라는 뜻이다. ROE의 공식으로는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 100 즉, 이 회사가 자기 자본으로 회사를 운영할 때 기간 동안 얼마나 벌었는지에 대한 비율이다. 통상적으로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 자본 대비 현금창출 능력이 좋다."라고 생각하면 쉽겠다. ▼ 아래는 ROE에 대해 이해하기 더 쉽게 풀어보았다. 자기자본 : 100억, 당기순이익 : 10억 일경우 ROE = 10% ROE가 중요한 이유?✍ ROE는 복리저축과 같은 느..
2022.11.28 -
<Elder-Ray Bull / Bear Power> 시장의 추세에 활용하기
Elder - Ray Bull / Bear Power은 Alexander Elder 박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 지표는 시장에서 매수와 매도 세력을 의미한다. Bull은 말 그대로 황소, Bear은 곰을 뜻한다. 황소와 곰으로 생각한 이유까지는 잘 모르겠다. 위 두 지표는 같이 쓰이기는 하나 자세한 설명을 위해 따로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Elder - Ray Bull / Bear Power 이 무엇인가? Elder - Ray Bull Power✍ 편의상 Bull이라고 하겠다. Bull은 강세를 뜻하며 오늘의 고점 - 13일 지수 이동평균값을 의미한다. Bull이 0 이상일 때 매수가 가능한 시점, 양→음으로 돌아선다면 매도세가 매수세를 압도한 것이다. Elder - Ray Bear Power✍ 편의상..
2022.11.23 -
<지지선과 저항선> 누구나 다 그릴수 있다.
지지선, 저항선 흔히들 들어본 말 일 것이다. 이 두 가지 선은 같은 선이고 쓰임에 따라 이름을 붙인다. 말 그대로 지지를 받고 저항을 받는 것이다. 더 쉽게 이야기를 해보자면 지지선에서는 주가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고, 저항선에서는 올라가는 것을 막는다. 누구든 지지와 저항을 보게 되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생각을 할 것이다. 지지와 저항선을 자세히 공부하다 보면 주식에 대한 심리가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차트를 통해서 알아보자. 지지선과 저항선으로만 향후의 주가를 판가름할 수는 없다. 하지만 흔히들 말하는 손절과 익절의 타이밍을 스스로 잡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다. 그렇다면 지지선과 저항선은 무엇으로 판단할 수 있을까? 몇 가지만 알아보도록..
2022.11.19 -
변동성을 알려주는 <ATR지표> 활용방법
ATR 지표? 그게 뭐 하는 거지?✍ ATR지표는 Average True Range의 약자로 변동성 값을 평균화시켜서 선으로 표현한 지표라고 정리할 수 있다. 변동성이라는 말은 주식을 접해본 분들이라면 분명 한 번쯤 들어봤던 말일 것이다. 변동성 완화장치, 변동성이 크다 등. 변동성이 크다는 말은 알다시피 우상향, 우하향하고 있는 주가와는 달리 급등, 급락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고 있다 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그럼 좋은 게 아닌가? 급등하는 고점에서 팔고 급락하는 저점에서 사면 이득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큰 오산이다. 우리와 같이 한창 공부해야 할 실력과 차트만 하루 종일 볼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절대 하지 못하는 고수의 영역이다. 분명 초보자들은 탈탈 털려 나갈 것이다. 요약하자면 A..
202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