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선과 저항선> 누구나 다 그릴수 있다.

2022. 11. 19. 09:43나만의 공부/보조지표 이해하기

지지선, 저항선 흔히들 들어본 말 일 것이다. 이 두 가지 선은 같은 선이고 쓰임에 따라 이름을 붙인다.

말 그대로 지지를 받고 저항을 받는 것이다. 더 쉽게 이야기를 해보자면 지지선에서는 주가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고, 저항선에서는 올라가는 것을 막는다. 누구든 지지와 저항을 보게 되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생각을 할 것이다. 지지와 저항선을 자세히 공부하다 보면 주식에 대한 심리가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차트를 통해서 알아보자.

지지선과 저항선으로만 향후의 주가를 판가름할 수는 없다. 하지만 흔히들 말하는 손절과 익절의 타이밍을 스스로 잡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다. 그렇다면 지지선과 저항선은 무엇으로 판단할 수 있을까? 몇 가지만 알아보도록 하자.


매물대 차트를 통한 저항선 확인✍

매물대 차트는 HTS, MTS 둘 다 설정이 가능하다. 적용 방법은 이곳저곳 검색해보면 나오니 손쉽게 따라 할 수 있다.
▼바로 차트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메가엠디1

보이는 빨간 박스가 매물대에 대한 지지, 저항선으로 볼수있다. 저 부근에서 거래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만일 이 선에서 상승이 나와줄지 하향이 나와줄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메가엠디2

다음 모습은 결국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이다. 2번째 지지선(그다음으로 많은 장대 매물)에서 조차 지지받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이다.

메가엠디3

이번에는 두번째 저항선을 강하게 돌파해주며 첫 번째 저항선에 맞고 떨어지는 모습이다. 만약 첫 번째 저항선에서 돌파해주지 못한다면 두 번째 저항선이 지지선이 되어줄 확률이 높다.

메가엠디4

첫번째 저항선을 결국엔 돌파해 주었다. 돌파해준 후로는 지지선으로서의 작용을 해주는 모습이다.
위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① 매물대 중에서 가장 긴 장대매물대를 기준으로 한다.
② 긴 장대매물대를 돌파하거나 추락하였을 경우 그다음으로 긴 장대매물대를 다음 지지와 저항선으로 본다.

다음은 주봉 차트를 통한 저항선 확인 방법이다. 주봉을 통한 저항선 확인은 2가지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겠다.
특히 주봉은 일봉의 5개를 모아둔 것이기에 일봉 차트에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주봉 차트를 통한 저항선 확인(1)✍

KTIS 주봉

설명에 앞서 차트를 설명하자면 거래량을 동반한 장대양봉이 나온 후 조정, 하락에 대한 모습이다.
위 두가지의 선을 긋는 방법이다.

①번 선은 장대양봉의 종가와 조정된 음봉의 시가를 연결해준 선이다.
②번 선은 조정된 음봉의 종가에 대한 선이다.

➜ 장대양봉을 1번 봉이라고 했을 때 3번 봉은 2번선(지지선)에 지지를 받는 모습이다. 1번선을 터치해주고 돌파해주는 모습이 나왔으나 끝내는 돌파하지 못하였다.
4번봉또한 1번선(저항선)을 뚫어주는 모습이었으나 결국은 돌파하지 못한 채 마감되었다.
5번봉에서는 다시 2번선(지지선)에서 지지를 받는 모습 이이다.(하지만 1~2번선 사이를 꽉 채운 음봉이다.)
6번봉은 2번선(지지선)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밑으로 흐르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 차트를 보고 위와 같이 스스로 분석해 보자.

스스로 생각해 봅시다.


주봉 차트를 통한 저항선 확인(2)✍

주봉차트를 통한 방벙 2

두번째 방법은 첫 번째보다 단순하다. 강한 거래량을 동반한 장대양봉이 나왔을 경우에 시가, 종가, 중간에 선을 그어보는 방법이다. 앞서 말했던 것에 대해 이해를 하였다면 두 번째 방법은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고 다른 차트를 한 개 더 확인해 보도록 하자.


누구나 어렵지 않게 저항선을 확인할수 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종목이나 사고싶은 종목에 대해 저항선을 그려보고 공부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