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24. 08:02ㆍ전자책 작성 프로젝트
2. 시작과 동시에 벽에 부딪혔다.(그래서 어떻게 시작해?) - 3
SETP 3. 목차 만들기(전자책의 큰 그림 그려보기)
어떠한 책이든 주제를 정했다면 가장먼저 목차를 만들어야 한다고 한다. 책이라는 것을 처음 만들어보기에 의아했다. '목차는 다 쓰고 정리해서 만들면 되는것이 아닌가?' 블로그에 올리기전 글의 중간부까지 이미 작성이 된 상태였지만 사실 목차는 없었다. 단지 다 쓰고 쓴 글을 정리해서 목차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목차 만들기가 내용보다 먼저 나온 이유는 글을 쓰면서도 머리는 이렇게 해야지 라고 생각하는데 전혀 정리가 되지 않았고 글을 쓰는 속도도 더디게 진행되었다. 그때 깨닳았다. '아! 그래서 목차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 거였구나.'
그래서 글의 중간에서 잠깐 멈추고 목차에 대한 구성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가장 먼저 했던 것은 [마인드맵 작성] 이였다. 전체적인 구성과 앞으로 어떻게 나가야 할지 시각화 하였고 그저 작성한 것만으로도 이미 목차는 완성되어 있었다.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나마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생각해보고 작성한다면 그것만으로도 정리가 되고 작성하면서 궁금한 부분들을 찾아보고 보완한다면 정확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가 있다.
마인드맵 작성이 끝났다면 바로 목록의 초안을 작성하면 된다. 목록의 초안을 토대로 내용을 채우고 채운 내용중에 궁금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료조사를 통해 계속 업데이트 해가면 마지막 발간전 최종적인 목록표를 만들수 있다.
아래는 위의 마인드맵을 통해 작성된 [목록표 초안]이다. 다음 스텝에서는 작성한 목록을 토대로 어떻게 내용을 채울것인지, 어떻게 하면 독자들에게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작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서론
- 포기만 할줄 알았던 20대, 실행에 옮긴 30대
2. 전자책의 작성 순서
- 주제정하기
- 디자인하기
- 목차작성하기
- 내용작성하기
- 피드백 받기
3. 전자책 발간하기
- 전자책 발간하는 방법
- 플랫폼별 양식과 특징
- 홍보하기
4. 마무리
- 책을 쓰면서 느낀 점
SETP 4. 글쓰기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독자와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소통은 작성자와 독자 간에 정보, 감정, 경험을 주고받는 일련의 과정이다. 어떠한 주제로 책을 만들던지 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면 아마 그 책은 10분도 못 읽힌 채 버려지고 말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글쓰기의 핵심인 소통을 위해 효과적인 수단을 찾아야 한다.
이 책을 쓰면서도 여러 번 읽어보았다. '내가 독자라면? 이 책을 보면 이해하고 따라 할 수 있을까?'라고 스스로 질문하고 더 깊이 고민했다. 수정을 반복하며 느꼈던 것은 항상 독자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표현해야 하며 끊임없이 나에게 질문을 던지며 글을 다듬어야만 더 좋은 글이 나온다는 것을 느꼈다. 그렇다면 독자와의 소통에서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일까?
1. 독자의 이해
1) 목적의 명확성 강조
- 독자에게 무엇을 위해서 책을 쓰는지(명확한 목적 설정), 또한 명확한 행동 지침이나 목표를 제시하여
독자가 어떤 변화나 이득을 얻을 수 있는지 구체화하여 목적을 강조해야 한다.
2) 독자와의 연결 강화
- 독자와의 감정적 연결을 강조하여 책을 통해 더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감정적인 부분을 강조한다면
독자들이 더욱 공감할 것이다.
3) 간결하고 명확한 표현
- 독자의 배경, 지식수준을 고려하여 독자가 이해하기 쉬운 단어와 문장을 사용해야 하며,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이 있다면 이해를 위한 예시와 비유, 복잡한 정보가 잘 정리되어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4) 직접적인 질문 활용
- 독자에게 직접적인 질문을 통해 더 깊게 고민하게끔 한다면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다.
2. 독자의 관심과 요구
1) 피드백 수용(열린 자세)
- 독자의 의견을 존중하고, 그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피드백을 적극 활용하라.
2) 추가적인 소통 채널 활용
- 다양한 소통채널(이메일, 소셜 미디어, SNS, 블로그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고 더 자주
소통을 할수 있다. 방법을 꼭 고려해 보아라.
3. 글의 일관성 유지
1) 어휘와 용어의 일관성
- 사용하는 어휘와 용어는 시작부터 끝까지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특정 용어를 사용하거나 정의할
경우 명확히 해야 하고 혼동을 줄 수 있는 불필요한 전문용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시간적 일관성
- 이야기나 설명이 시간과 동작의 순서에 따라 전개되어야 독자들이 쉽게 따라갈 수 있다.
3) 글 전체의 일관성
- 글의 주제와 목적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만약 주제가 일관성 있지 못하다면 독자들에게 혼동이
생길 수 있다.
4) 폰트와 포맷의 일관성
- 글의 폰트, 크기, 간격, 제목, 부제의 형식 등이 일관성을 유지해야 독자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독자와의 소통에 있어 중요한 요소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소통은 결국 양측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화를 통해 소통하는 것은 상대방의 감정과 생각을 바로 느낄 수 있지만 책은 그렇지 않다. 책을 통한 소통은 작가가 선택한 언어와 구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책을 쓸 때에는 문장 하나하나에 서술과 묘사를 활용하여 감정을 전달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또한, 독자의 배경과 반응과 배경, 지식의 수준을 고려하여 공감을 이끌어 내야 소통의 질과 상호작용을 향상시킬수 있다.
'전자책 작성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따라하기만 하면 쉽게 전자책을 작성할 수 있다!(Day 2) (0) | 2024.02.18 |
---|---|
누구나 따라하기만 하면 쉽게 전자책을 작성할 수 있다!(Day 1) (0) | 2024.02.16 |